요약
목표 달성 능력은 배워야 한다.
- 목표를 달성하는 첫 단계는 시간을 어디에 쓰고 있는지 기록하는 것이다.
피터 드러커 자기경영노트 시간 관리 - 너무 짧게 일하면 소용없다, 집중, 위임, 체크리스트
시간이란 경영자에게 가장 부족하고 값비싼 자원이다. 집중과 위임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는 자신의 자원를 분산하지 않는다. 그들은 모든 일이 가능해도 한 가지 과업에 집중한다. 그는 우선
oooo12.tistory.com
- 두번째 단계는 공헌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성과에 관심을 두고 전진하라.
- 경영자는 자신이 보상받는 이유인 공헌에 대해 철저히 생각하는 습관을 터득해야 한다.
- 경영자는 자신에 대한 기준이 아주 높아야 한다.
- 경영자는 자신과 자기의 비전을 공헌에 맞춤으로써 수단뿐 아니라 항상 목적과 결과를 생각해야 한다.
피터 드러커 자기경영노트 목표는 공헌에 맞춰라 - 외부 공헌, 노력보다 결과, 제너럴리스트
공헌의 초점이 향해야 할 곳 대부분의 지식노동자는 자기 능력보다 낮은 수준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그런 사람들은 결과가 아니라 노력 자체에 빠져 있다. 무엇보다도 자신이 ‘가져야
oooo12.tistory.com
- 강점이 생산성을 발휘하도록 만든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행동에서 나타나는 태도다.
- 강점을 생산적으로 만든다는 것은 ‘실행하여 배우는 것’이고 실천하여 자신을 계발하는 것이다.
배워서 실행하는 것이 아니다. 실행하여 배우는 것이다. 강점을 생산적으로 만든다는 건.
피터 드러커 자기경영노트 - 강점만 집중하라, 마셜장군일화, 직무설계, 본래모습에 충실하라
사람의 ‘강점’에만 집중하라. 큰 강점을 가진 사람은 언제나 커다란 약점도 가지고 있다. 산봉우리가 높은 산은 계곡도 깊은 법이다.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는 결코 ‘그 사람이 나하고 잘
oooo12.tistory.com
리더십
-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가 개발해야할 건 정보가 아니라 통찰력, 자립심, 용기 등 인간의 성품에 관계되는 것이다.
- 수재나 천재의 리더십이 아니라 좀 더 겸손하고 지속적인 리더십, 헌신, 결단력, 목적의식이 뚜렷한 리더십이다.
목표를 달성하는 의사 결정
- 무엇을 어떤 순서로 해야 할 것인지(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 책에서 밝히고 있다.
- 이정표를 따라감으로써 경영자는 책임 있는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당연히 자신을 계발하고 훈련할 것이다.
피터 드러커 자기경영노트 우선순위 정하는 법( + 성과를 올리지 못하는 이유)
아무런 성과를 올리지 못하는 이유. 그 일에 필요한 시간을 과소 평가하기 때문이다.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는 어떤 일을 할 때 실제 필요한 시간 이상으로 여유 있게 일정을 잡는다. 성과가 떨
oooo12.tistory.com
- 경영자는 목표 달성 능력을 먼저 향상해야 한다.
- 그렇지 않다면 지식, 기술, 습관을 아무리 잘 확보했다 하더라도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의사결정 - 견해, 가설에서 시작하라, 목표를 달성하는 의사결정의 불쾌감 -피터 드러커 자기경
의사결정은 견해, 가설에서 시작한다.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들은 의사결정이 사실에서 출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는 자신의 견해로부터 출발한다. 사실을 먼
oooo12.tistory.com
대규모 조직
- 대규모 조직의 필요는 비범한 성과를 낼 수 있는 보통 사람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지식 노동자
- 과거 육체노동자는 경제적 목적만 있었기 때문에 경제적 보상만으로 만족한다고 믿었다.
- 그러나 그런 생각은 인간관계학파가 밝힌 것처럼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임금이 최저생활 수준을 넘어선 순간 그것(경제적 보상만으로 만족할 거라는 믿음)은 더 이상 사실이 아니다.
- 지식노동자 역시 경제적 보상을 요구한다. 보상 부족은 문제가 된다. 그러나 금전적 보상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 지식노동자에게는 기회, 달성, 자기실현, 가치가 필요하다.
- 지식노동자는 스스로를 목표 달성 경영자로 만들 때에만 이런 만족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