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언어 시각화 통계 입문
동그랑땡의 github 자세히보기

동그랑땡의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통계 이해땡

비메트릭 척도, 비교척도 방법 정의 & 설명/예시 + 종류

동그랑땡12 2023. 10. 12. 12:12
📍현재 위치 : 측정 > 척도 > 척도방법에 따른 분류 > 비메트릭척도(non-metric)

척도는 무엇인가?

비교척도, 비메트릭 척도를 이해하려면, 척도(scale)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아래 글에서 척도는 물론 측정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자.

측정과 척도, 그 애매함에 관해...(+ 척도의 종류) 설명, 정의

📍현재 위치 : 측정 > 척도 > 척도방법에 따른 분류 측정은 왜 하는 것일까? 통계학에서 측정 measurement을 하는 이유는 개념, 즉 가설을 검증하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수는

oooo12.tistory.com


비메트릭 척도(non-metric scale)란?

metric은 meter의 변형이다. meter는 measure를 어원으로 한다. 직역하자면 '측정'이겠으나 통계에서는 보통 quantitative하게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non-metric scale은 quantitative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 qualitative, 질적인 척도에 해당한다.


비교척도(comparative scale) - 비메트릭 척도

비교척도(comparative scale)는 비메트릭 척도에 해당한다. 즉, 비교만 하는 척도다. 누가 더 좋고, 누가 더 나쁜지 혹은 누가 더 많고, 누가 더 적은지를 나타낼 뿐, 누가 얼마나 더 많고 적은지를 나타내진 않는다.
 
순위를 매기고 관측치를 비교하는데에 방점이 있다. 그러나 비교척도에 해당하는 척도 방법을 사용한 측정값을 무조건 서열척도(ordinal scale)로 간주하는 건 아니다. 
 
이제 이 비교척도에 해당하는 척도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쌍대비교척도법(paired comparison scaling)

paired, 짝을 짓는다는 영어 표기처럼 두 대상을 비교하여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측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한 값은 서열척도에 해당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백화점1과 백화점2 중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한 곳을 선택하도록 한다면 쌍대비교척도법에 해당한다.

추이성(transitivity)

쌍대비교척도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순위별로 나열하려면 측정값 사이에 추이성이 존재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백화점의 서비스 만족도를 쌍대비교척도법으로 측정하여 나온 측정값이 다음과 같다.

백화점 1 > 백화점 3백화점 2 > 백화점 3

추이성이 존재한다면 다음 측정값도 만족할 것이다.

백화점 1 > 백화점 3

순위서열척도법(rank-order scaling)

순위를 정하는 측정을 경험해봤다면, 순위서열척도법을 경험해본 것이다. 
 
예를 들어, 5개 기업을 나열하고(삼성,sk,lg,현대,기아) '각 기업 평판에 대한 순위를 1부터 5까지 적어주세요.' 라는 설문지는 순위서열척도법을 사용한 것이다.
 
순위서열척도법을 사용하면 응답자는 한번에 여러 개의 기업을 고려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때문에, 한 번에 두개 기업만 고려하는 쌍대비교척도법보다 현실에 가깝다.
 
또한, 전체 순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쌍대비교척도법처럼 추이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미 추이성은 만족되어 있다.
 


고정총합척도법(constant sum scaling)

예를 보는 편이 훨씬 이해하기 좋다.
 
예를 들어, 100점 총합(constant sum - 고정 총합)을 주고 중요도에 따라 각 항목에 대해 점수를 배정하도록 한다.
'현재 기업에 다니는 이유에 대한 설문'에서 항목은 기업 연봉, 기업 워라밸, 기업 문화 이렇게 3개 항목이 있다고 하자.

기업 연봉50
기업 워라밸40
기업 문화10
총점100

이런 방식이 고정총합척도법이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각 항목별 응답자들의 평균을 비교하여 어떤 항목을 중요시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만약 응답자가 기업 문화에 0점을 줬다면 이는 기업문화에 중요도가 '없다.' 는 의사표시를 한 것이므로 '의미있는 0'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 척도법에 의한 측정값들은 등간척도 혹은 비율척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총합척도법에 의한 척도를 서열척도라고 보기도 한다.
 
그 이유는 응답자가 응답할 때 이미 실험설계자가 정해놓은 각 항목을 비교하여 점수를 기입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고정총합척도법을 사용하는 측정은 특히 표본 선택 바이어스(selection bias)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표본 선택 바이어스에 대해선 다음 글에 자세히 남기겠다.


Q소트 척도법(Q-sort scaling)

응답자의 편의를 위해 실험설계자가 카테고리를 응답자에게 주고, 응답자는 비교 대상들을 카테고리에 할당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광고 문구를 평가하는 실험을 생각해보자. 실험 설계자는 1번 부터 11번 자리를 만든다.
 
가장 싫어하는 문구는 1번에 가장 좋아하는 문구는 11번에 놓도록 한다.
 
응답자가 문구를 중간 정도 좋아하면 5,6번 자리에 놓을 것이다.
 
메트릭척도에서 볼 항목형 평가척도 역시 카테고리화를 하지만 비교 유무에 따라 갈린다.


참고

연구방법론의 이해, 이군희 , 북넷, 2014

연구방법론의 이해 | 이군희 - 교보문고

연구방법론의 이해 |

product.kyobobook.co.kr

 

});